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가이드/공간 구조별 팁

MMK 기숙사 프로젝트: 키친 브랜드가 만든 감각적 공간 디자인

by diary7290 2025. 3. 28.
반응형

MMK 기숙사의 입구에서 바라본 내부 전경, 모던하고 간결한 디자인의 복도와 객실 내부 모습
사진출처 : MMK_148. SS07-project / Dormitory

 

주방 가구와 키친 웨어를 전문으로 하며 국내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브랜드 MMK(Museum of Modern Kitchen)가 최근 색다른 프로젝트를 선보였습니다. 바로 한국에서 활동 중인 외국인 모델을 위한 특별한 기숙사입니다. 이 공간은 기존의 일반적인 숙소가 아니라 브랜드 철학과 미학이 반영된 하나의 ‘살아있는 공간’으로 설계되었습니다.

 

MMK의 기숙사는 단순히 잠자는 장소 이상의 가치를 제공합니다. 브랜드가 강조해온 라이프스타일, 감성, 문화가 총체적으로 반영된 공간으로서, 앞으로 공간 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합니다.

 

 

MMK - Museum of Modern Kitchen - 148. SS07-project / Dormitory

Museum Modern of Kitchen

www.museumofmodernkitchen.com

 

 

1. MMK 기숙사 프로젝트 소개

MMK 기숙사의 수납공간 및 벽면 디자인, 콘크리트 질감과 화이트 가구의 세련된 조화

 

이번 프로젝트는 주방 브랜드 MMK가 자신들의 전문성을 확장하여 선보인 새로운 유형의 공간 디자인입니다. MMK는 기존에도 ‘주방을 채우는 단순한 가구가 아니라, 주방에서 발생하는 문화와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한다’는 브랜드 철학을 가진 기업입니다.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한 기숙사는 거주 공간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공간 전체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하는 하나의 ‘문화적 상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특히 금강SP건축사사무소와의 협업으로 진행되었으며, 건축, 인테리어, 가구의 경계를 허물고 융합하는 통합적 접근을 취했습니다.

 

 

2. 디자인 콘셉트: 센츄리 X (Century X)

MMK 기숙사의 또 다른 객실 디자인, 밝은 나무 소재와 블랙 바닥, 복층 침대 구조의 미니멀한 공간
MMK 기숙사의 욕실 인테리어, 블랙 앤 화이트 컬러의 미니멀한 세면대와 샤워실 디자인
MMK 기숙사의 디테일한 가구와 마감, 스테인리스 선반, 붉은색 프레임 침대, 컬러 대비가 돋보이는 타일 바닥

 

MMK 기숙사의 디자인 핵심 키워드는 바로 **‘센츄리 X’**입니다. 이는 20세기와 21세기의 감성을 결합한 미학적 접근으로, 클래식한 미드센추리 디자인의 아름다움과 현대적인 감각이 균형 있게 공존합니다.

  • 미드센추리 스타일 재해석
    유기적인 곡선, 과감한 원색의 활용과 구조적 단순함 등 미드센추리 스타일의 핵심 요소가 현대적으로 재해석되었습니다.
  • 가변성 있는 맞춤형 가구
    MMK의 맞춤형 가구는 조립과 해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입주자들이 각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공간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게 합니다.
  • 감각적인 색채와 소재의 융합
    파스텔 톤과 원색의 균형 잡힌 조합, 플라스틱과 금속, 원목 등 다양한 소재의 통일감 있는 조화로 개성 있으면서도 안정감을 느끼게 합니다.

 

3. MMK 기숙사의 디자인 포인트

MMK 기숙사 인테리어 전경, 붉은색 바닥과 복층 침대 구조로 구성된 모던한 내부 공

 

1. 유연하고 열린 공간 구성

기존 기숙사의 획일적이고 폐쇄적인 구조와 달리, 방과 방 사이에 커먼 키친과 라운지 같은 공유 공간을 자연스럽게 배치하여 소통과 독립이 공존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2. 사용자 중심의 가변성

사용자가 자유롭게 가구 배치를 바꾸고 자신의 개성을 공간에 투영할 수 있도록 여지를 마련한 유연한 디자인을 적용했습니다.

 

3. 소재와 질감의 세련된 조합

무광의 고급 소재와 텍스처를 사용하여 내구성과 미학 모두를 놓치지 않고 높은 수준으로 구현했습니다.

 

4. 프로젝트를 감상하며 느낀 점

MMK 기숙사를 통해 느낀 점은 이 공간이 단순한 숙소가 아닌 ‘삶을 경험하고 자신을 표현하는 문화적 공간’이라는 점입니다. 브랜드의 철학과 감각이 실제 사용자의 일상에 녹아드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이는 공간 디자이너에게도 큰 영감과 자극을 주는 요소입니다.

특히 모델이라는 직업 특성상 낯선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입주자들에게 공간 자체가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요소를 효과적으로 배치했습니다.

 

5. 결론: 앞으로의 공간 디자인을 보여주는 MMK 기숙사

MMK 기숙사 프로젝트는 공간이 단순히 거주 목적을 넘어서 사용자의 삶과 문화, 경험을 표현하는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MMK의 철학과 디자인적 감각을 완벽히 구현한 이 공간은 향후 공간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사례가 될 것입니다.

 

디자인과 브랜드 철학이 사용자의 경험으로 이어지는 이러한 선순환 구조는 앞으로 더욱 많은 브랜드에서 시도할 필요가 있습니다. MMK 기숙사는 단순히 보기 좋은 공간을 넘어서서 살고 싶은 공간, 경험하고 싶은 공간이 되었습니다.

이처럼 브랜드가 공간을 통해 자신만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사용자와 교감하는 새로운 방식이 더욱 주목받기를 기대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