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리랜서 디자이너 꿀팁/종합소득세 A to Z

[종소세 A to Z]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안 하면? 과태료부터 세무조사까지 정리

by diary7290 2025. 4. 10.
반응형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안 하면 생기는 불이익과 과태료, 세무조사 위험 정리"

 

5월은 프리랜서에게 가장 중요한 시기입니다. 바로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이기 때문인데요.

많은 프리랜서 디자이너분들이 “수입도 적은데 안 해도 되는 거 아냐?” 하고 미루거나 아예 안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신고를 안 하면?
👉 과태료, 무신고 가산세, 세무조사까지 연결될 수 있습니다.


📌 종합소득세란?

프리랜서로 벌어들인 수입에 대해 한 해 동안 정산해 국세청에 신고하는 세금

  • 신고 기간: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 신고 대상: 사업소득, 프리랜서 소득, 기타 수입이 있는 사람

⚠️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으면 생기는 불이익

1️⃣ 무신고 가산세 부과

납부해야 할 세금의 20% 추가 벌금 발생

예) 납부세액이 100만 원이라면 → 120만 원 납부해야 함

2️⃣ 세금 납부 지연 시 ‘납부불성실 가산세’ 발생

하루 지날수록 붙는 이자, 연 최대 9% 이상

3️⃣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음

반복적인 미신고는 국세청의 ‘주의 인물’로 등록

  • 사업용 계좌 추적
  • 소비 내역 조회
  • 추가 과세 등 실질 조사가 이뤄질 수 있음

📉 실제 사례: 신고 안 했다가 벌금 낸 프리랜서 A씨

프리랜서 인테리어 디자이너 A씨는 “작년에 수입도 얼마 없어서 그냥 넘겼어요.” 그 결과는?

  • 무신고 가산세 18만 원
  • 납부 지연 이자까지 추가
  • 다음 해 국세청 세무 알림 문자 폭탄

“신고했으면 10분이면 끝날 일이었는데, 몇 달 동안 계속 스트레스였어요.”


✅ 그럼 어떻게 신고해야 할까?

간단하게 요약하면,

  1. 홈택스에 로그인
  2. 종합소득세 신고 메뉴 선택
  3. 자동 불러온 소득 자료 확인
  4. 경비 항목 체크 (교통비, 재료비 등)
  5. 신고서 제출 → 납부까지 완료

👉 신고만 잘 해도, 환급이 나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 꿀팁: 3.3% 공제, 환급 받을 수 있어요

프리랜서는 일할 때마다 3.3% 세금이 선공제됩니다.
하지만 실제 세금보다 많이 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 “신고만 잘해도 환급 받을 수 있어요!”

이건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룰게요 :)


📌 마무리 정리

  • ✅ 종합소득세는 안 하면 끝이 아니라 벌금으로 돌아온다
  • ✅ 신고는 5월 한 달 동안 꼭 해야 한다
  • 환급 기회까지 있으니 절대 놓치지 말기!

📍 다음 편 예고

[종소세 A to Z] 3.3% 환급, 프리랜서도 꼭 챙겨야 하는 이유 (직접 받아봄)

반응형